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주식

유상증자 주가에 미치는 영향

by ♧릴리리맘보♧ 2020. 11. 8.
반응형



증자란 무엇인가 

증자란 기업이 주식을 추가발행해서 회사의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말합니다. 회사가 자본금을 늘이는 방식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무상증자와 유상증자입니다.

 


무상증자란?
무상증자는 기업이 주식을 발행해서 기존 주주들의 주식 보유수를 늘려주는 것입니다. 돈을 받지 않고 그냥 무료로 나누어 누는 것으로 주주들에게 주식 보유수를 늘리는 것만으로도 증시에서의 인기가 올라가 주가가 상승하기도 합니다. 이 무상증자는 기업의 잉여자본이 충분란 경우에만 할수 있기 때문에 무상증자로 기업의 이미지가 '재무가 탄탄란 회사' 로 굳힐수 있습니다

유상증자

유상증자란?
유상증자란 기업이 새롭게 주식을 발행하여 기존 주주 또는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의 회사 주식을 살수 있게끔 하는 것입니다. 물론 기업이 돈을 얻는 방법으로 은행에거 대출을 받거나 기업채권을 발행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출 또는 채권은 이자를 내야하는 부담이나 원금을 갚아야하는 부담이 생기게됩니다. 이는 기업이 중장기투자를 위해 자금을 마련하는 경우 엄청난 부담으로 작용할수 있습니다. 유상증자로 기업의 주식수를 더 발행하는 유상증자의 방법을 활용하면 위와 같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유상증자의 방법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 우선 공모 또는 주주배정방식
기존 주주들에게만 새롭게 발행되는 주식을 살 권리를 주는 것입니다.

두번째, 일반공모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공모주 청약을 통해 새로운 주식을 발행하는 방식


세번째, 제 3자 배정방식
주주는 아니지만 회사의 임원, 종업원, 거래처 등 회사와 특별하고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이들에게만 신주인수권을 주는 방식

 

 

 


위 세가지 중 한가지 방식을 골라도 되고 2가지 이상을 동시에 사용하기도 합니다

무상증자는 앞서 말씀드렸듯 호재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유상증자는 어떻데 될까요?

정답은 기업이 어떠한 이유에서 유상증자를 발행하냐가 중요합니다.

기업이 단순히 빌린 돈을 갚을 능력이 없어소 발행한다면 여유자금이 없다는 것이니 악재로 작용하겠죠.
하지만 기업이 미래를 선두할 핵심 기술 개발을 위해 발행한다면 이것은 호재로 작용할 확률이 높습니다!

유상증자 제 3자 배정방식

굳이 순위를 따지자면 제 3자 배정방식이 보통 관련 기업이나 기관에 파는 경우가 많아 일반공모로 일반인들에게 파는 것보다 호재인 경우아 많습니다. 대층 생닥해봐도 기업이나 기관의 돈이 들어온다는거 자체가 그 관련기관의 투자자의 검토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하니까요.  일반공모로 발행한다고 하면 어떠한 이유인지 한번더 살펴보는것이 좋겠죠?


이유가 중요합니다!



반응형

댓글